음식을 한다거나 물을 데운다거나 등등의
특정한 상황에서 부득이하게 화상을 입게 되는
경우가 생기곤 합니다.
그에 따른 대처법을
Q&A 형식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
화상을 입었을 때
가장 많이 묻는 질문들(Q&A)
Q1.
화상을 입으면
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뭔가요?
A:
화상을 입은 부위를
즉시 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.
흐르는 미지근한 물로
10~20분 정도 천천히 식혀주세요.
화상 부위의 열을 식히지 않으면 손상이
진행될 수 있어요.
화상이 심하지 않다면
보습 크림이나 알로에 겔을 사용해 피부를
보호하면 됩니다.
Q2.
얼음을 대면 더 빨리 식을까요?
A:
절대 아니에요!
얼음이나 차가운 물은 피부에 더 큰 자극을 주고
혈액순환을 방해해서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.
미지근한 물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이에요.
Q3.
물집이 생기면 터뜨려야 하나요?
A:
아니요! 물집은 화상 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.
물집을 억지로 터뜨리면 감염 위험이 높아지고
상처가 더 오래갈 수 있어요.
Q4.
민간요법으로 화상에
된장이나 치약을 바르면 된다던데요?
A:
잘못된 정보입니다!
된장, 치약, 간장 등은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
피부 재생을 방해할 수 있어요.
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키기 때문에
꼭 깨끗한 물로 씻고 의료용 연고를 사용하는 게
안전합니다.
Q5.
화상을 입은 부위에 옷이 붙었다면
어떻게 해야 하나요?
A:
옷이 피부에 붙었다면 억지로 떼지 말고
그대로 두세요.
떼려고 하면 피부가 더 손상될 수 있어요.
이 상태로 바로 병원을 방문하세요.
Q6.
병원을 가야 할 화상은
어떤 경우인가요?
A:
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병원을 꼭 방문해야 합니다.
- 화상 부위가 손, 발, 얼굴, 관절, 생식기일 때.
- 물집이 크거나 손바닥 2개 크기 이상일 때.
- 피부가 검게 타거나(3도 화상)
- 통증이 전혀 없을 때.
- 열이 나거나 상처에서 진물이 나오면
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.
Q7.
화상이 낫고 있는데 흉터가 걱정돼요.
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?
A:
상처가 완전히 아문 후
- 비타민 E 크림이나 흉터 연고를 꾸준히
발라주세요.
- 흉터 부위가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
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적절한 보습과 마사지로 피부 재생을
도울 수 있어요.
Q8.
화상을 예방하려면
어떻게 해야 할까요?
A:
주방에서는 항상 조심!
뜨거운 냄비나 기름이 튈 수 있는 곳에서는
장갑을 착용하거나 물건을 조심히 다루세요.
아이들이 있는 집이라면
뜨거운 물건을 아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두세요.
가스레인지 주변을 항상 정리해 두는 것도
안전을 위해 중요합니다.
'건강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올바른 하임리히법 어떻게? 영유아, 성인, 셀프하임리히법 (0) | 2025.01.26 |
---|---|
음식물 기도 막힘 올바른 대처방법 하임리히법 제대로 하지 않으면 더 위험 (0) | 2025.01.26 |
화상 입었을 때 대처 방법. 얼음으로 식히기, 물집 터트리기 안돼요!! (0) | 2025.01.26 |
미세먼지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실시간 대기농도상태 알아보기 (0) | 2025.01.22 |
정용화 무릎반월상연골파열 진단 받아 수술예정. 쉽게 손상 가능 왜? (0) | 2025.01.22 |